[컴주개] CSE Junior Developer Meetup 3회 모임 review
1차 세션: 근황 발표
2차 세션: 기술 공유
대수형: 웹 소켓 통신
- 서버 - 클라이언트가 특정 포트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는것
- 시작부터 서버 -클라이언트 연결을 맺고 시작함.
- 그로 인해 소켓 갯수에 대한 제한이 생김.
왜 썻는지
- 실시간성 게임, 서버- 클라이언트 양방향 통신을 위해서
- http, 소켓통신 각각 장,단점이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해야한다.
민수: RESTful api
- 표현 상태 전송
- http를 이용해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정한 약속
- 분산 하이퍼미디어(인터넷, 웹)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설계 형식
- RE: 자원을 대표하는 식별자
- ST: 자원의 상태를 전송하는 방법
- rest 아키텍쳐 스타일을 따르는 api
- rest api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는 RESTful 하다.
restful api 특징
- 1. 서버 -클라이언트
- stateless
- 무상태성
- 서버에 상태를 저장하면 서버를 늘릴 수 없음
- 캐시
- 유니폼 인터페이스
- 레이어드 시스템
- 코드 온 디맨드
rest api 규칙
-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한다.
-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로 표현한다.
종호형: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격언
- 모르는건 배우면 된다.
- 배움엔 끝이 없다.
- 지식이 늘어날수록 자신감 하락
- 어제보다 나은 내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둔다.
- 배움의 길 === 마라톤
soft skill
- 사람을 잘 이해하자.
- 소프트웨어도 결국 사람이 만드는것이다.
3차 세션: 나의 장단점 공유하기.
- 저번달은 모임 인원들이 다들 시간이 안맞아서 2달만에 모였는데 그래도 역시 같은 과 사람들이라 그런지 편안했다.
- 오랜만에 열심히 공부하는 팀원들 보면서 동기부여를 얻어간 것 같다.
'일상(?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주개] CSE Junior Developer Meetup 4회 모임 (0) | 2020.01.25 |
---|---|
1년차 주니어 개발자의 2019 retrospective (0) | 2020.01.25 |
CSE Junior Developer Meet up - review (0) | 2019.09.29 |
상반기 회고 (0) | 2019.09.27 |
TensorFlow DevSummmit 2019 Extended Songdo - Review (2) | 2019.04.09 |